맨위로가기

몽골 문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 문학은 몽골 민족의 구전 전통에서 시작되어, 흉노, 선비 등 몽골어족의 영웅 서사시, 신화, 속담 등을 통해 역사와 문화를 전승해 왔다. 칭기즈 칸 시대에 몽골 문자가 창제되면서 몽골 제국의 번영을 반영하는 다양한 문학 작품이 등장했고, 특히 『몽골 비사』는 몽골 문학의 고전으로 평가받는다. 근세에는 불교 문학이 발전하고, 역사서와 전기 문학이 등장했으며, 19세기에는 민중 문학이 나타났다. 1921년 수흐바타르 임시정부 수립 이후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지배적인 문학 양식을 이루었으며, 1990년 민주화 이후 새로운 표현 형식을 모색하는 다양한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주요 작가로는 다시도르지 나차그도르지, 뱌뱌인 린첸, 바부우기인 흐라그바수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몽골 문학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몽골어
종교티베트 불교
문학적 전통구전 설화
서사시
연대기
수필
종교적 텍스트
역사적 문학
주요 작품몽골비사
알탄톱치
자미얀
게세르
시기13세기 ~ 20세기 초
특징역사적 사건 기록, 영웅 서사, 종교적 가르침
현대 문학
시기20세기 이후
특징사회주의 리얼리즘 영향
민족주의적 주제
개인적 경험 탐구
주요 작가차드라발린 로돔바
둥기인 마암
센기인 에르덴
뱜바링 렌
문학 유형
장르
소설
단편 소설
희곡
평론
수필
특징
서사 문학장대한 영웅담
국가 및 사회 중요 사건 반영
구전 문학민담
전설
수수께끼
속담
종교 문학불경과 찬가 번역
특징
영향티베트 문화
불교
러시아 문화
소비에트 문화
발전문맹률 감소 및 교육 발전으로 현대 문학 발전
번역
몽골 문학다른 언어로 번역 증가
외국 문학몽골어로 번역 증가
추가 정보
몽골 비사몽골 제국의 건국 과정 서술
알탄톱치몽골사를 기록한 연대기

2. 고대 문학 ( ~ 12세기)

몽골 문학은 유목민들의 구전 전통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흉노, 선비몽골어족 민족들은 영웅 서사시, 신화, 속담 등을 통해 자신들의 역사와 문화를 전승했다.

6세기경 몽골어로 추정되는 루란어 비문이 발견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부구트 비문이 있는데, 몽골 아르항가이(Arkhangai Province) 아이흐 타미르(Ikh-Tamir) 솜에서 발견되었다. 584년으로 추정되는 이 비문은 다국어 비문으로, 소그드어와 루란어 비문이 같이 있다.[4]

요(907-1125)거란족은 대자와 소자 두 종류의 문자를 사용했다.

2. 1. 구전 문학

몽골족의 조상은 기원전 630년부터 기원전 209년까지 존속했던 흉노이다. 이들은 유목 생활을 했기 때문에 초기 형태의 악기 반주에 맞춰 영웅 서사시를 불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신화, 속담, 율거를 포함하는 구전 전통의 일부였을 것이다.[4]

2. 2. 초기 문자 기록

선비족은 나무 조각에 쓰는 룬 문자와 비슷한 문자를 사용했다고 한다. 3세기 선비족의 노래인 「선비 형제의 노래」는 중국어 번역본으로 전해진다.[4] 탁발 시대에는 많은 몽골어 단어들이 중국어 음역으로 전해지는데, 예를 들어 huolan(많은), wulian(구름), ezhen(주인), akan(형제)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단편적이며, 탁발 시대의 기록물 중 "문학"이라고 부를 만한 상당한 분량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4]

6세기경에는 몽골어로 추정되는 「휘스톨고이 비문」과 「부구트 비문」이 나타났다. 「휘스톨고이 비문」은 몽골어로 쓰인 단일 언어 비문으로, 5세기에서 7세기 사이로 추정된다. 이 비문에 쓰인 몽골어는 중앙 몽골어 및 현존하는 몽골어족 언어와 같이 "주류 몽골어"에 더 가깝다. 불교적 색채를 띠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저자, 후원자, 주제는 알려지지 않았다.[4]

3. 중세 문학 (13세기 ~ 16세기)

13세기에서 16세기까지의 몽골 중세 문학은 칭기즈칸이 위구르 문자를 바탕으로 몽골 문자를 창제하고 공식 문자로 채택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5] 몽골 제국이 성립되면서 효율적인 통신 체계가 갖춰졌고, 이는 몽골어 작품들이 제국의 번영과 다양성을 반영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이 시기 작품 대부분은 제국 멸망 이후 혼란 속에서 소실되거나 파괴되어, 현재 남아있는 것은 극히 일부이다. "알탄 데브테르(Altan Debter)", "이크 토브추(Ikh Tovchoo)", "대 율령(Great Yassa)" 등은 사라진 작품의 예시이다.

몽골의 법률 문서는 칙령, 포고령, 법률 등 형태로, 특별한 공식 언어로 쓰여졌다.

원나라 시대에는 번역 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소놈 가라는 사캬 판디타의 『Legs-bshad』를 번역하며 문장 구조를 변경하고 자신의 견해에 맞게 수정했다.[16] 초이지-오드세르의 제자 시라브 센게는 스승의 작업을 이어받아 수바시드와 알탄게렐 수트라를 번역했다. 효경, 신약성서, 시편도 이 시기에 번역되었다.

무함마드 알-사마르칸디의 4행시와 알렉산더 로망스의 몽골어 단편들은 몽골과 무슬림 서방과의 접촉을 보여준다. 13세기 중반, 이프티카르-에딘 무함마드는 칼릴라와 딤나(판차탄트라 이야기)를 페르시아어에서 몽골어로 번역했다.

원나라가 멸망한 후 명나라의 정벌로 몽골 제국 시대는 막을 내렸고, 1576년 "불교의 세 번째 전래"가 있기까지 2세기 동안 암흑기에 접어들었다. 이 시기 몽골의 발전된 정치, 경제, 사회 구조는 붕괴되었다. 카라코룸은 1380년에 파괴되었고, 몽골은 12세기 유목민 사회로 회귀했다. 그러나 명나라 내에서는 《화이역어》(1389), 《몽골 비사》(1386)의 중국어 번역본, 중국어, 티베트어, 몽골어, 산스크리트어로 된 밀교 안내서(1502) 등 몽골어 작품들이 인쇄되었다.

황금 호드의 양피지 문서에는 어머니와 멀리 떨어져 있는 아들(군인)이 서로를 그리워하는 시가 담겨 있는데, 이는 일반 백성들의 독특한 문학 유물이다. 14세기 초, 운남의 몽골 왕자는 자신의 개인적인 고백과 불교 기증에 관한 문서를 완성했다. 이 무렵, 유교의 『효경』이 중국어에서 몽골어로 번역되어 인쇄되었다.[16]

3. 1. 몽골 문자의 창제와 발전

1204년 칭기즈칸은 위구르 문자를 바탕으로 몽골 문자를 창제하여 공식 문자로 채택했다.[5] 이 시기 몽골어로 쓰여진 작품들은 당시 몽골 제국의 번영과 다양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시대의 대부분의 작품들은 발견되지 않았거나 제국 멸망 이후 혼란 속에서 파괴되었기 때문에, 현재 남아 있는 작품들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사라진 작품의 예로는 "알탄 데브테르(Altan Debter)", "이크 토브추(Ikh Tovchoo)", "대 율령(Great Yassa)" 등이 있다.

3. 2. 『몽골 비사』

Монголын нууц товчооmn는 칭기즈칸 가문의 역사를 다룬 서사시로, 몽골의 역사, 문화, 사회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원래 몽골 문자로 쓰여진 『몽골 비사』는 몽골 문학의 기본적인 고전으로 여겨진다.[6] 『몽골 비사』는 산문 외에도 많은 시를 포함하고 있다. "칭기즈의 지혜", "칭기즈칸에 의한 300명의 타이주드 패배", "고아 소년과 칭기즈의 9명의 장군과의 현명한 논쟁"은 14세기 작품으로 간주되며, 나중에 17세기 역사 연대기에 복사되었다.

3. 3. 기타 중세 문학 작품


  • 칭기즈칸 비석(예순게 비석) (~1225–70).[5]
  • 외케데이 칸의 칙령 (1240).
  • 황금 호드의 양피지 문서 (1240년대).
  • 귀유크 칸의 어새 문구 (1246).[7]
  • 몽케 칸의 비석 (1257).[8][9]
  • 프랑코-몽골 동맹/프랑코-몽골 서신: 아르군에서 필리프 4세 (1289)와 니콜라스 4세 (1290)에게 보낸 서신, 올제이투에서 필리프 4세에게 보낸 서신 (1305)
  • 『마하칼라 찬가』 (1305).
  • 초이지-오드세르의 보디차리아바타라 주석 (1312).[10]
  • 반자라흐 수트라 (14세기 초), 수바시드 수트라 (1290년대).
  • 무함마드 알-사마르칸디의 시 (1290년대).[11]
  • 알렉산더 로망스 (13세기~14세기 초).
  • 아흘랄트놈 또는 효경 (1307).[12]
  • 조반니 다 몬테코르비노가 번역한 신약전서와 시편 (1310년대, 현재는 소실됨).
  • 몽골어로 된 『금광명경』 (1330년대).[13]
  • 북두칠성 제사에 관한 책 (1330년대).
  • 주용관의 운대/비문/차브찰 붐트의 불교 봉헌 비문 (1345).
  • 쿠빌라이 칸에서 토곤 테무르까지의 원나라 황제들의 칙령 (1279–1368).[14][15]
  • 카라코룸의 석비 (14세기 초).
  • 투루판에서 발굴된 문서 (14세기 초).
  • 파스파 문자/방격 문자 비문 (1279–1368).


초이지-오드세르는 보디차리아바타라, 반자라흐 수트라, 붓다의 12업을 포함한 여러 주요 불교 경전을 몽골어로 번역하고 주석을 달았다. 그는 『마하칼라 찬가』, 『주르켄 톨릿』(몽골 문법 서적)을 저술했다.

4. 근세 문학 (17세기 ~ 20세기 초)

다얀 칸(1464-1517?/1543?)이 몽골의 정치적 통일을 회복하고 칭기즈 칸의 후손을 최고 권력자로 재확립한 후, 1576년부터 불교가 몽골에 널리 퍼지면서 이전까지 샤머니즘을 믿던 몽골 부족들의 통합이 더욱 공고해졌다. 16세기 후반 명나라의 약화는 몽골이 문화적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하게 했으며, 이 시기에는 허구, 역사, 언어, 법률, 의학 등 다양한 장르의 수많은 문학 작품이 창작되었다.[16]

17세기에는 초그트 타이지가 유명한 시를 지었고, 1624년 바위 표면에 새겨졌다. 이 시에는 자연의 기본적인 통일성과 인간애에 대한 성찰이 담겨 있다. 청나라 시대에는 라십풍수그가 1774년에 역사서 『볼로르 에리케』(수정 염주)를 저술했다.[16]

강희제가 제정한 몽골어판 『게세르』는 1716년 베이징에서 인쇄되었다. 이 작품은 부랴트족의 2만 구절 서사시 『아바이 게세르 휘뷔ün』과 16세기의 칼미크족 서사시 『장가르』에 영감을 주었다.[16] 1666년에 출판된 『엔두렐 칸 이야기』는 주목할 만한 허구 작품이다.

4. 1. 불교 문학의 발전

17세기 오이라트 출신 문인 자야 판디타(1599–1662)는 투명한 문자를 창제했다.[16] 그의 제자 라트나바드라는 그의 중요한 전기를 저술했다.[16]

몽골 제국 시대에 번역이 시작된 『간주르』와 『탄주르』는 르네상스 시대에 완성되었다. 리그단 칸의 통치 기간에 113권으로 된 『황금 간주르』(1628-1629)라는 완전한 몽골어판이 출판되었다. 이 판본은 1718-1720년에 수정되어 재출판되었다.[17] 『탄주르』는 1741년~1749년에 완성되어 225권으로 인쇄되었다.

4. 2. 역사서와 전기 문학

17세기에는 사항 세첸의 『에르데닌 토브치』, 룹상단진의 『알탄 토브치』 등 몽골의 역사를 다룬 역사서가 편찬되었다.[16] 같은 시기 오이라트 출신 문인 자야 판디타(1599–1662)가 투명한 문자를 창제했으며,[16] 그의 제자 라트나바드라는 자야 판디타의 전기를 저술하여 전기 문학도 등장했다.[16]

4. 3. 민중 문학의 등장 (19세기 ~ 20세기 초)

19세기에서 20세기 초는 민중 문학이 등장한 시기로, 랍자의 『월곽공전』, 인잔나시의 『대현 제국 흥륭의 푸른 연대기』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16] 단잔랍자와 인잔나시는 불교 성직자들의 속세 추구와 귀족들의 과도한 행태를 풍자하며 비판적인 경향을 보였다. 인잔나시는 몽골의 관리이자 작가, 역사가였던 왕칭발라(1795~1847)의 아들이었으며, 아버지 사후 "Köke sudur"(푸른 연대기[16] 또는 "원 제국의 푸른 책"[18])을 완성했다.[16]

중국 문학의 주요 소설들이 몽골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면서 인잔나시와 같은 중국계 몽골 작가들의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번역된 소설로는 『홍루몽』, 『금병매』, 『서유기』, 『삼국지연의』 등이 있다.[19] 토크토흐토르 왕자는 전통 경제 관리에 관한 실용적인 조언을 담은 책을 저술했고, 짐바도르지는 1833년에 여러 나라에 대한 상세한 지리 정보와 관찰을 담은 백과사전 "Bolor Toli"를 제작했다.

5. 근현대 문학 (1921년 ~ 현재)

1911년과 1921년 민족혁명 이후 서구와 일본 문학의 영향을 받아 창작 활동이 시작된 시기를 '근현대 문학'이라고 부른다. 몽골은 1990년까지 사회주의 국가의 관점에서 발전 단계론과 러시아·소비에트 문학사의 틀을 모델로 삼아 문학사를 구성했다.

1921년 수흐바타르 임시정부 수립 이후 소련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몽골 문학의 주류를 이루었다. 이 시기 대표적인 작가로는 D. 나차그도르지, S. 부얀네멕, Ts. 담딘수렌 등이 있다. S. 에르데네, Ch. 로도이담바, S. 우드발은 주로 몽골의 독립 투쟁, 공산 혁명,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의 시골 생활을 주제로 작품을 썼다. B. 린첸은 몽골 역사를, R. 초이놈은 사회 비판적인 작품을 썼다.

1980년대 후반, 페레스트로이카 시기와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몽골 작가들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제약에서 벗어나 새로운 표현 형식을 찾기 시작했다. B. 흐라그바수렌, G. 바담삼부, B. 갈산수흐, 오치르바틴 다쉬발바르, D. 우리안하이, Sh. 구르바자르, 갈산 친나그, Ts. 훌란 등이 포스트소비에트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로 꼽힌다.

1990년 민주화 이후, 사회주의 시대의 관제 문학사는 부정되었고 다양한 시대 구분이 제시되고 있다.

5. 1. 혁명 문학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1921년 ~ 1989년)

1921년 수흐바타르 임시정부 수립은 몽골 사회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고, 몽골은 갑작스럽게 현대 산업 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소련과의 긴밀한 관계는 이후 수십 년 동안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지배적인 문학 양식이 됨을 의미했다. 현대 몽골 문학의 중요한 선구자로는 D. 나차그도르지(1906-1937), S. 부얀네멕, Ts. 담딘수렌이 있다. 전후 시대의 성공적인 작가로는 S. 에르데네, Ch. 로도이담바, S. 우드발이 있다. 문학적 주제는 종종 몽골의 독립 투쟁과 공산 혁명 시대, 또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시대를 배경으로 한 시골 생활에서 가져왔다. B. 린첸의 많은 작품은 몽골의 오래된 역사를 다룬다. 당시 가장 인기 있는 시인 중 한 명은 자신의 작품으로 인해 투옥된 반체제 시인 R. 초이놈이었다.

1990년까지 몽골의 문학사는 사회주의 국가의 관점에서 발전 단계론과 러시아·소비에트 문학사의 틀을 모델로 삼아 구성되었다. 그러나 민주화 이후 이러한 사회주의 시대의 관제 문학사는 부정되었고, 다양한 시대 구분이 제시되고 있다.[1]

이 시기 주요 작가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사망비고
S. 보얀네메흐 (Сономбалжирын Буяннэмэх|소놈발지린 부얀네메흐mn)1902년1937년
M. 야담스렌 (Мөрдэндэвийн Ядамсүрэн|뫼르덴데비인 야담수렌mn)1904년1937년
B. 린첸 (Бямбын Ринчен|뱌뱌인 린첸mn)1905년1977년
D. 나차그도르지 (Дашдоржийн Нацагдорж|다시도르지 나차그도르지mn)1906년1937년
다시도르지 나차그도르지
Ts. 담딘스렌 (Цэндийн Дамдинсүрэн|첸디인 담딘수렌mn)1908년1986년
D. 남다그 (Донровын Намдаг|돈로빈 남다그mn)1911년1984년
Ch. 로도이담바 (Чадраабалын Лодойдамба|차드라아바린 로도이담바mn)1917년1970년
Ch. 치미드 (Чойжилын Чимид|초이질린 치미드mn)1927년1980년
B. 야보훌란 (Бэгзийн Явуухулан|베그지인 야부훌란mn)1929년1982년
S. 에르데네 (Сэнгийн Эрдэнэ|센기인 에르데네mn)1929년2000년
Ts. 가이타브 (Цэвэгмидийн Гайтав|체베그미디인 가이타브mn)1929년1979년
D. 푸레브도르지 (Дэндэвийн Пүрэвдорж|덴데비인 푸레브도르지mn)1933년2010년
S. 다시도오로브 (Сормууниршийн Дашдооров|소르무우니르시인 다시도오로브mn)1935년1999년
R. 초이놈 (Ренчиний Чойном|렌치니 초이놈mn)1936년1979년
D. 우리안하이 (Дамдинсүрэнгийн Урианхай|담딘수렝기인 우리안하이mn)1940년
D. 바트바얄 (Дарамын Батбаяр|다라민 바트바얄mn)1941년
B. 흐라그바수렌 (Бавуугийн Лхагвасүрэн|바부우기인 흐라그바수렌mn)1944년
Ch. 갈산 (Чинагийн Галсан|치나기인 갈산mn)1944년
D. 냠수렌 (Данзангийн Нямсүрэн|단잔기인 냠수렌mn)1947년2002년
O. 다시발바르 (Очирбатын Дашбалбар|오치르바틴 다시발바르mn)1957년1999년
P. 바얄사이한 (Пүрэвжавын Баярсайхан|푸레브자빈 바얄사이한mn)1959년2007년
Ts. 훌란 (Цоодолын Хулан|초오돌린 훌란mn)1969년
G. 아유르자나 (Гун-Аажавын Аюурзана|군-아자빈 아유르자나mn)1970년
L. 울지투그스 (Лувсандоржийн Өлзийтөгс|루브산도르지인 울지투그스mn)1972년
B. 갈산수흐 (Баатарын Галсансүх|바아타린 갈산수흐mn)1972년


5. 2. 민주화 이후의 문학 (1990년 ~ 현재)

1980년대 후반의 페레스트로이카(Пе́рестройка) 시기와 민주화 과정은 몽골 작가들에게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제약을 깨고 새로운 표현 형식을 모색하도록 자극했다. 포스트소비에트 시대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바부우기인 흐라그바수렌, 오치르바틴 다쉬발바르, 담딘수렝기인 우리안하이 등이 있다.

민주화 이후인 1990년 이후에는 사회주의 시대의 관제 문학사는 부정되었고, 다양한 시대 구분이 제시되고 있다.

6. 주요 작가 및 작품

1921년 수흐바타르 임시정부 수립은 몽골 사회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고, 몽골은 갑작스럽게 현대 산업 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소련과의 긴밀한 관계는 이후 수십 년 동안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지배적인 문학 양식이 됨을 의미했다. 현대 몽골 문학의 중요한 선구자로는 D. 나차그도르지, S. 부얀네메흐, Ts. 담딘수렌이 있다.

전후 시대의 성공적인 작가로는 S. 에르데네, Ch. 로도이담바, S. 우드발이 있다. 문학적 주제는 종종 몽골의 독립 투쟁과 공산 혁명 시대, 또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시대를 배경으로 한 시골 생활에서 가져왔다. B. 린첸의 많은 작품은 몽골의 오래된 역사를 다룬다. 당시 가장 인기 있는 시인 중 한 명은 자신의 작품으로 인해 투옥된 반체제 시인 R. 초이놈이었다.

1980년대 후반의 페레스트로이카 시기와 민주화 과정은 몽골 작가들에게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제약을 깨고 새로운 표현 형식을 모색하도록 자극했다. 포스트소비에트 시대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B. 흐라그바수렌, B. 갈산수흐, O. 다시발바르, D. 우리안하이, G. 친나그, Ts. 훌란 등이 있다.

이름출생-사망몽골어 표기
S. 부얀네메흐1902-1937Сономбалжирын Буяннэмэхmn
M. 야담수렌1904-1937Мөрдэндэвийн Ядамсүрэнmn
B. 린첸1905-1977Бямбын Ринченmn
D. 나차그도르지1906-1937Дашдоржийн Нацагдоржmn
Ts. 담딘수렌1908-1986Цэндийн Дамдинсүрэнmn
D. 남다그1911-1984Донровын Намдагmn
Ch. 로도이담바1917-1970Чадраабалын Лодойдамбаmn
Ch. 치미드1927-1980Чойжилын Чимидmn
B. 야보훌란1929-1982Бэгзийн Явуухуланmn
S. 에르데네1929-2000Сэнгийн Эрдэнэmn
Ts. 가이타브1929-1979Цэвэгмидийн Гайтавmn
D. 푸레브도르지1933-2010Дэндэвийн Пүрэвдоржmn
S. 다시도오로브1935-1999Сормууниршийн Дашдооровmn
R. 초이놈1936-1979Ренчиний Чойномmn
D. 우리안하이1940-Дамдинсүрэнгийн Урианхайmn
D. 바트바얄1941-Дарамын Батбаярmn
B. 흐라그바수렌1944-Бавуугийн Лхагвасүрэнmn
Ch. 갈산1944-Чинагийн Галсанmn
D. 냠수렌1947-2002Данзангийн Нямсүрэнmn
O. 다시발바르1957-1999Очирбатын Дашбалбарmn
P. 바얄사이한1959-2007Пүрэвжавын Баярсайханmn
Ts. 훌란1969-Цоодолын Хуланmn
G. 아유르자나1970-Гун-Аажавын Аюурзанаmn
L. 울지투그스1972-Лувсандоржийн Өлзийтөгсmn
B. 갈산수흐1972-Баатарын Галсансүхmn


6. 1. 근대 이전 작가 및 작품

다얀 칸(1464-1517?/1543?)이 몽골의 정치적 통일을 회복하고 칭기즈 칸의 후손을 최고 권력자로 재확립한 후, 1576년부터 시작된 세 번째이자 더욱 철저한 불교의 도입은 이전까지 샤머니즘을 믿던 몽골 부족들의 통합을 더욱 공고히 했다. 이와 더불어 16세기 후반 명나라의 약화는 몽골이 문화적 르네상스 시대에 접어들 수 있도록 했으며, 이 시대에는 허구, 역사, 언어, 법률, 의학 등 다양한 장르의 수많은 문학 작품이 창작되었다. 현존하는 연대기 중에는 룹상단진의 『알탄 토브치』와 작가이자 몽골 왕자인 사항 세첸의 작품, 특히 그의 『에르데닌 토브치』가 있다. 이 시대의 다른 중요한 작품으로는 자유와 도덕성을 다룬 익명의 우화인 『에레 코야르 자갈』(두 마리 얼룩말)과 17세기에 다얀 칸을 찬양하여 쓴 『샤르 투지』(Sir-a tuguji, 노란 이야기)가 있다.[16]

17세기에는 오이라트 출신 문인 자야 판디타(1599–1662)가 투명한 문자를 창제했다. 그의 1644년 『마니 브카'-붐』 번역본 이후의 작품들은 그의 시적 재능을 보여준다.[16] 그의 제자 라트나바드라는 그의 중요한 전기를 저술했다.[16]

몽골 르네상스는 청나라(1691-1911)와 보그드 칸(1911-1921)의 통치하에서 계속되었다. 1930년대 대부분의 수도원이 파괴된 광범위한 공산당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작품들의 상당수가 남아 있다. 이 시기에 발전한 문학 몽골어는 오늘날 고전 몽골어로 불리며, 제국 시대와 암흑기의 언어는 고전 이전 몽골어로 불린다.

제국 시대에 번역이 시작된 『간주르』와 『탄주르』는 르네상스 시대에 완성되었다. 『황금 간주르』(1628-1629)라고 불리는 완전한 몽골어판이 리그단 칸의 통치 기간에 113권으로 출판되었다. 나중에 이 판본은 1718-1720년에 수정되어 재출판되었다.[17] 『탄주르』는 마침내 1741년~1749년에 완성되어 225권으로 인쇄되었다. 방대한 서사시 『게세르』의 가장 오래된 필사본인 강희제가 제정한 몽골어판은 1716년 베이징에서 인쇄되었다. 이 작품은 부랴트족의 2만 구절 서사시 『아바이 게세르 휘뷔ün』과 16세기의 칼미크족 서사시 『장가르』에 영감을 주었다.[16] 『엔두렐 칸 이야기』는 1666년에 출판되었으며, 주목할 만한 허구 작품이다. 초그트 타이지는 1621년에 그의 유명한 시를 지었고, 그것은 나중에 1624년 바위 표면에 새겨졌다.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이 시에는 자연의 기본적인 통일성과 인간애에 대한 성찰이 담겨 있다. 청나라 시대에는 라십풍수그가 1774년에 완성한 역사서 『볼로르 에리케』(수정 염주)를 저술했다.

19세기에 인자나시(Injanashi)와 단잔랍자(Danzanravjaa)는 불교 성직자들의 속세 추구와 귀족들의 과도한 행태를 풍자하며 비판적 사고의 경향을 보였다. 인자나시는 몽골 관리이자 작가이자 역사가였던 왕칭발라(Wangchingbala, 1795 – 1847)의 아들이었다. 그는 아버지 사후에 완성한 "Köke sudur" (푸른 연대기("The Blue Chronicle")[16] 또는 "원 제국의 푸른 책"("Blue Book of the Yuan Empire")[18])의 저자였다.[16]

중국 문학의 중요한 소설들이 몽골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면서 인자나시와 같은 중국계 몽골 작가들의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원작에는 『홍루몽』(Dream of the Red Chamber), 『금병매』(Jin Ping Mei), 『서유기』(Journey to the West), 『삼국지연의』(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등이 포함된다.[19] 토크토흐토르(Tokhtokhtor) 왕자는 전통 경제 관리에 관한 실용적인 조언을 담은 책을 저술했다. 짐바도르지(Jimbadorji)는 1833년에 여러 나라에 대한 상세한 지리 정보와 관찰을 담은 백과사전인 "Bolor Toli"를 제작했다.

6. 2. 근현대 작가

1921년 수흐바타르 임시정부 수립은 몽골 사회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고, 몽골은 갑작스럽게 현대 산업 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소련과의 긴밀한 관계는 이후 수십 년 동안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지배적인 문학 양식이 됨을 의미했다. 현대 몽골 문학의 중요한 선구자로는 D. 나차그도르지(1906-1937), S. 부얀네멕, Ts. 담딘수렌이 있다. 전후 시대의 성공적인 작가로는 S. 에르데네, Ch. 로도이담바, S. 우드발이 있다. 문학적 주제는 종종 몽골의 독립 투쟁과 공산 혁명 시대, 또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시대를 배경으로 한 시골 생활에서 가져왔다. B. 린첸의 많은 작품은 몽골의 오래된 역사를 다룬다. 당시 가장 인기 있는 시인 중 한 명은 자신의 작품으로 인해 투옥된 반체제 시인 R. 초이놈이었다.

1980년대 후반의 페레스트로이카(Пе́рестройка) 시기와 민주화 과정은 몽골 작가들에게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제약을 깨고 새로운 표현 형식을 모색하도록 자극했다. 포스트소비에트 시대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B. 흐라그바수렌, G. 바담삼부, B. 갈산수흐, O. 다시발바르, D. 우리안하이, Sh. 구르바자르, G. 친나그, Ts. 훌란 등이 있다.

이름출생-사망몽골어 표기
S. 부얀네메흐1902-1937Сономбалжирын Буяннэмэхmn
M. 야담수렌1904-1937Мөрдэндэвийн Ядамсүрэнmn
B. 린첸1905-1977Бямбын Ринченmn
D. 나차그도르지1906-1937Дашдоржийн Нацагдоржmn
Ts. 담딘수렌1908-1986Цэндийн Дамдинсүрэнmn
D. 남다그1911-1984Донровын Намдагmn
Ch. 로도이담바1917-1970Чадраабалын Лодойдамбаmn
Ch. 치미드1927-1980Чойжилын Чимидmn
B. 야보훌란1929-1982Бэгзийн Явуухуланmn
S. 에르데네1929-2000Сэнгийн Эрдэнэmn
Ts. 가이타브1929-1979Цэвэгмидийн Гайтавmn
D. 푸레브도르지1933-2010Дэндэвийн Пүрэвдоржmn
S. 다시도오로브1935-1999Сормууниршийн Дашдооровmn
R. 초이놈1936-1979Ренчиний Чойномmn
D. 우리안하이1940-Дамдинсүрэнгийн Урианхайmn
D. 바트바얄1941-Дарамын Батбаярmn
B. 흐라그바수렌1944-Бавуугийн Лхагвасүрэнmn
Ch. 갈산1944-Чинагийн Галсанmn
D. 냠수렌1947-2002Данзангийн Нямсүрэнmn
O. 다시발바르1957-1999Очирбатын Дашбалбарmn
P. 바얄사이한1959-2007Пүрэвжавын Баярсайханmn
Ts. 훌란1969-Цоодолын Хуланmn
G. 아유르자나1970-Гун-Аажавын Аюурзанаmn
L. 울지투그스1972-Лувсандоржийн Өлзийтөгсmn
B. 갈산수흐1972-Баатарын Галсансүхmn


참조

[1] 웹사이트 Mongolia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3-03-14
[2] 웹사이트 Mongolian literature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16-08-24
[3] 기타
[4] 논문 INTERPRETATION OF THE HÜIS TOLGOI INSCRIPTION (Draft version) EHESS/CRLAO, Paris
[5]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27
[6] 서적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The Life and Times of Chinggis Kh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5-08-18
[7] 웹사이트 Asnad.org Digital Persian Archives: Detail view document 249 http://www.asnad.org[...]
[8] 서적 The Majlis: Interreligious Encounters in Medieval Islam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1999-01-01
[9] 웹사이트 The National Museum of Mongolian History: The Mongol Empire of Chingis Khan and his successors https://depts.washin[...]
[10] 논문 Buddhist Literature-Mongolia-Brill Encyclopedia https://www.academia[...]
[11] 웹사이트 Linguamongolia - Poetry http://www.linguamon[...]
[12] 웹사이트 Mongolian state dictionary https://mongoltoli.m[...]
[13] 뉴스 "ALTANGEREL" Sutra (MAHAYANA), Chapter 24 on the "Healing of all Ailments" - TMM http://www.yoonk.net[...] 2016-11-23
[14] 논문 Two Yuan Imperial Edicts in Mongolian Written in 'Phags-Pa Script and Kept in the Nanhua Monastery 1989-01-01
[15] 서적 The Mongolic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27
[16] 웹사이트 Mongolian literature https://www.britanni[...] Britannica
[17] 웹사이트 Manuscript Cultures in Asia, Africa and Europe https://www.manuscri[...]
[18]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UNESCO
[1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Mongoliin songomol yaruu nairag (Select poetry of Mongolia) Ulaanbaatar
[21] Youtube Aavdaa bi hairtai https://www.youtube.[...]
[22] 서적 モンゴル文学への誘い 明石書店
[23] 웹사이트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아시아 문학/A·A제국의 문학/몽 고 https://ko.wikisourc[...]
[24] 뉴스 가장 오래된 몽골어 사료 '알탄톱치' 첫 완역 출간 http://www.yonhapnew[...] 2014-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